- 목차
이 문서는 로테이노에서 플레이어의 레이팅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문서의 레이팅 계산식은 2.8.41 버전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용어
일관적인 용어 사용을 위하여 몇몇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일부 용어는 통용되는 의미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차트: 곡, 난이도, 난이도 상수, 플레이 결과, 레이팅 등 하나의 채보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의미합니다.
- 곡: 하나의 곡을 의미합니다. 난이도 별로 차트를 가집니다.
- 점수: 플레이를 통해 얻은 점수값입니다.
- 레이팅: 아래와 같이 크게 2가지의 의미를 가집니다.
- 차트 레이팅 또는 개별 레이팅은 각 차트 별로 점수와 난이도 상수에 따라 결정되는 값입니다.
- 총 레이팅은 공식에 따라 개별 레이팅 값을 합산하여 결정되는 값입니다.
- 난이도: 한 곡에 속한 채보간의 상대적인 어려움을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Ⅰ, Ⅱ, Ⅲ, Ⅳ, Ⅳ-α의 5가지 값 중 하나입니다.
- 난이도 상수: 각 채보의 어려운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소수값입니다. 예시로, 가장 높은 난이도 상수는 翠杜(Ⅳ)의 14.5입니다.
- 레이팅 보정치: 개별 레이팅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값으로, 차트의 점수에 따라 난이도 상수에 추가되는 값입니다.
개별 레이팅 계산
개별 레이팅을 계산할 때에는, 점수 값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간을 나누고 구간 별로 아래와 같은 레이팅 보정치 값을 정의합니다.
점수 구간 | 레이팅 보정치 | 점수 1000점 당 보정치 |
---|---|---|
1010000 | +3.7 | |
1008000 ~ 1009999 | +3.4 ~ +3.6 | 0.10005 |
1004000 ~ 1008000 | +2.4 ~ +3.4 | 0.25 |
1000000 ~ 1004000 | +2.0 ~ +2.4 | 0.1 |
980000 ~ 1000000 | +1.0 ~ +2.0 | 0.05 |
950000 ~ 980000 | 0.0 ~ +1.0 | 0.03333 |
900000 ~ 950000 | -1.0 ~ 0.0 | 0.02 |
800000 ~ 900000 | -2.0 ~ -1.0 | 0.01 |
700000 ~ 800000 | -3.0 ~ -2.0 | 0.01 |
600000 ~ 700000 | -4.0 ~ -3.0 | 0.01 |
500000 ~ 600000 | -5.0 ~ -4.0 | 0.01 |
0 ~ 500000 | -9999.0 ~ -5.0 | 199.88 |
위 구간에 따라, 개별 레이팅 값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
점수값에 따라 레이팅을 계산합니다.
-
이론치(1010000점)인 경우, 3.7을 더합니다.
\[(난이도\ 상수)+3.7\] -
점수 $s$가 속해있는 점수 구간 $s_1,s_2$의 보정치가 $b_1,b_2$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보정치의 선형 보간값을 더합니다.
\[(난이도\ 상수)+b_1+(b_2-b_1)\times\frac{s-s_1}{s_2-s_1}\]
-
- 만약 계산된 값이 음수라면, 음수값은 무시하고 0으로 계산합니다.
- 만약 계산된 값이 6.0 이상이지만 차트를 클리어하지 못했다면, 6.0 이상의 값은 무시하고 6.0으로 계산합니다.
총 레이팅 계산
위에서 계산한 개별 레이팅 값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총 레이팅을 계산합니다:
- 모든 곡의 차트 정보를 불러옵니다.
-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곡 별로 차트를 선택합니다.
- Ⅰ, Ⅱ, Ⅲ의 난이도는 모두 포함합니다.
- 만약 Ⅳ 난이도와 Ⅳ-α 난이도가 모두 존재한다면, 더 높은 개별 레이팅 값을 가지는 차트만 선택하여 포함합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한다면 존재하는 차트를 포함합니다.
- 이렇게 선택한 차트를 개별 레이팅이 높은 차트가 먼저 오도록 정렬합니다.
-
앞에서부터 40개의 차트를 골라 아래의 계산식을 적용합니다($c_i$는 $i$번째로 높은 개별 레이팅 값을 가지는 차트의 개별 레이팅 값을 의미합니다):
\[\frac{c_1+...+c_{10}}{10}\times0.6+\frac{c_{11}+...+c_{20}}{10}\times0.2+\frac{c_{21}+...+c_{40}}{20}\times0.2\] - 이렇게 계산한 값에서 소수점 3자리를 남기고 나머지는 버립니다.